전체 글 30

미국의 전통 주택을 활용한 어스십(Earthship): 자급자족이 가능한 미래형 생태 주택

1. 미국 소개미국은 북아메리카 대륙에 위치한 국가로, 면적은 약 983만㎢이며, 인구는 약 3억 3,200만 명(2024년 기준)이다. 수도는 워싱턴 D.C.이며, 뉴욕,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휴스턴 같은 대도시들이 있다. 미국은 다양한 기후와 지형을 가지고 있어, 지역별로 주택 양식이 크게 다르다. 전통적인 목조 주택부터 초고층 건물, 사막 지역의 어도비 건축물까지 여러 유형의 건축 양식이 발달했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 문제와 에너지 절약이 주요 이슈가 되면서,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것이 어스십(Earthship)이라는 독특한 건축 개념이다. 어스십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외부 에너지원 없이도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주거 형태로..

중국의 전통 주택 툴루(Tulou): 공동체 중심의 요새형 흙집

1. 중국 소개중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거대한 국가로, 면적은 약 960만㎢이며, 인구는 약 14억 명(2024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다. 수도는 베이징이며, 주요 도시로는 상하이, 광저우, 선전, 충칭 등이 있다. 중국은 국토가 넓어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와 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전통 건축 양식이 발달했다. 특히, 남부 지역은 습하고 온난한 기후로 인해 목조와 흙을 활용한 건축물이 많이 발전했다. 푸젠성과 광둥성 일대에서는 가족 공동체가 함께 거주하는 툴루라는 독특한 주거 형태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단순한 주택을 넘어 사회적 결속력과 방어 기능을 갖춘 건축물로 발전했다. 2. 중국의 전통 주택 툴루란?툴루는 중국 남부 푸젠성에 주로 분포하는 전통적인 대..

이란의 전통 주택 윈드캐처(Windcatcher): 사막에서 바람을 활용하는 전통 건축

1. 이란 소개이란은 중동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면적은 약 164만 8,000㎢이며, 인구는 약 8,500만 명(2024년 기준)이다. 수도는 테헤란이며, 주요 도시로는 이스파한, 야즈드, 쉬라즈 등이 있다. 이란은 다양한 기후를 가진 나라지만, 국토의 상당 부분이 건조한 사막 및 스텝 기후에 속한다. 여름에는 기온이 40°C 이상까지 올라가는 지역이 많으며, 강수량이 적어 물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이러한 혹독한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건축 방식이 발전하면서 자연적인 냉각 시스템이 발달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윈드캐처(Windcatcher)다. 윈드캐처는 이란뿐만 아니라 중동, 북아프리카, 인도 등지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특히 이란의 사막 도시에서 가장 발전한 형태로 남아 있으며, 오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