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전통 주택

알래스카의 전통 주택 이글루(Igloo): 얼음으로 만든 따뜻한 집

트렌드렌즈 2025. 3. 13. 23:18

1. 알래스카 소개

알래스카는 미국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면적은 약 171만 8,000㎢에 달하며, 미국에서 가장 넓은 주다. 인구는 약 73만 명(2024년 기준)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매우 낮다. 수도는 주노이며, 최대 도시는 앵커리지다.

 

알래스카는 북극권과 접해 있어 기후가 매우 혹독하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영하 40°C 이하로 떨어지는 지역도 있으며, 강한 눈보라와 한파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알래스카 북부와 캐나다 북극해 연안 지역은 극지 기후에 속해, 일 년 중 대부분이 얼음과 눈으로 덮여 있다.

 

알래스카의 전통 주택 이글루(Igloo): 얼음으로 만든 따뜻한 집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살아온 원주민 이누이트들은 오랜 세월 동안 자연에 적응한 독특한 주거 형태를 발전시켰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이글루다. 이글루는 얼음과 눈을 이용해 만든 주거 형태로,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2. 알래스카의 전통 주택 이글루란?

이글루는 눈덩이를 벽돌처럼 쌓아 만든 돔형의 주거 공간으로, 주로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 그린란드의 이누이트들이 사용해 왔다. 눈으로 만든 집이지만 내부는 예상보다 따뜻하며, 단열 효과가 뛰어나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글루는 단순한 피난처가 아니라, 사냥과 이동 생활을 하는 이누이트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주거 형태였다. 기후 조건에 따라 일시적 이글루와 장기 거주용 이글루로 나뉘며, 크기와 구조도 다르게 설계되었다.

  • 일시적 이글루: 짧은 기간 동안 사냥이나 여행 중 머물기 위해 만드는 작은 구조물로, 빠르게 지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 장기 거주용 이글루: 가족 단위로 생활할 수 있도록 좀 더 크고 정교하게 설계되며, 내부에 여러 공간이 나뉘어 있다.

이누이트들은 눈의 단열 효과를 활용해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으며, 불을 피워도 얼지 않는 구조를 개발해 극지 생활에서 필수적인 생존 공간으로 활용했다.

 

3. 이글루의 역사와 발전 과정

이글루는 수천 년 전부터 북극 지역에서 살아온 이누이트들이 개발한 주거 형태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지혜가 담긴 건축물이다.

 

북극 지방은 목재가 거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이누이트들은 건축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눈과 얼음을 활용했다. 단단한 눈을 벽돌처럼 잘라 쌓아 올리면 강한 바람에도 무너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었고, 돔형 구조 덕분에 내부 온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었다.

 

과거 이글루는 사냥과 이주 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거처였으며, 이누이트들은 이글루를 지어가며 북극권에서 살아남았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이누이트들의 생활 방식이 변하면서 이글루의 역할도 달라졌다. 현재는 전통적인 이글루를 사용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으며, 대신 현대식 주택과 이동식 캐빈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4. 이글루의 건축적 특징

이글루는 단순한 눈더미가 아니라, 북극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로 얼음 속에서 따뜻함을 유지하는 비밀인 것이다.

  • 돔형 구조: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내부의 온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 눈의 단열 효과: 눈 속의 공기층이 열을 가두는 역할을 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출입구 설계: 출입구는 낮게 만들고, 내부 바닥을 높여 따뜻한 공기가 위쪽에 머물도록 설계한다.
  • 내부 조명과 불 사용: 기름 램프(쿼디약)를 이용해 내부를 밝히고, 조리와 난방을 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이글루 내부 온도는 영하 40°C의 혹한 속에서도 영상 0°C 이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몸에서 나오는 열기만으로도 비교적 따뜻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5. 이글루와 이누이트 문화

이글루는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이누이트들의 공동체 생활과 문화적 전통이 담긴 공간이다. 이누이트 사회에서는 한 개의 큰 이글루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작은 이글루가 배치되어 가족 단위의 생활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사냥이 끝나면 여러 가족이 모여 공동으로 음식을 나누거나 의식을 치르는 공간으로도 활용되었다.

 

이글루는 이누이트들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며, 오늘날에도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다.

 

6. 이글루의 장점과 단점

이글루는 혹한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적의 주거 형태로, 단열 효과가 뛰어나 극한의 추위 속에서도 내부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눈과 얼음을 재료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건축물로 평가되며, 이동과 재건축이 용이해 사냥 생활과도 잘 어울린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글루는 장기 거주보다는 일시적인 피난처로 적합하며, 현대적인 편의시설을 추가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눈과 얼음이 점점 줄어들면서 이글루를 유지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힌다.

 

7. 전통을 지키기 위한 현대적 활용과 보존 노력

현재 이글루는 전통적인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지만, 관광과 연구 기지, 교육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부 북극 지역에서는 관광객들에게 이글루 체험을 제공하며, 이누이트 전통 문화를 배우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북극 연구 기지에서는 이글루의 구조를 현대 기술과 접목해 에너지 효율적인 극지 건축 모델을 개발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글루는 단순한 얼음집이 아니라, 북극의 혹독한 환경에서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개발한 지혜가 담긴 주거 형태다. 앞으로도 이누이트 문화와 함께 보존되고, 현대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